우리나라에서는 거북 등딱지를 얇게 갈아 만든 대모복채와 줄음질, 끊음질, 모조법, 타찰법이라는 방법으로 자개를 다듬어 나전칠기를 장식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자개를 잘게 잘라 작은 무늬를 만들고, 아름다운 색을 입힌 거북 등딱지로 장식했습니다. 고려 후기에는 거북 등딱지 사용이 줄어들고 꽃무늬 사이사이를 금속선의 넝쿨무늬로 경계를 표현했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큰 꽃무늬를 타찰법으로 표현했습니다. 타찰법이란 조개 껍데기를 작은 조각으로 눌러 깨뜨려서 무늬를 만드는 기법입니다. 또 조개 껍데기를 잘게 끊어서 원하는 무늬를 만드는 기법인 끊음질로 식물의 줄기를 자유롭게 묘사했습니다. 고려시대의 줄음질, 끊음질, 모조법 등 전통 기법과 넝쿨무늬 등 전통 무늬를 색다르게 사용해 조선만의 칠공예품을 만들었습니다.